레벨 10입니다!
힌트를 보아하니...
공유 메모리를 활용하여 프로세스 간 통신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.
물론 이건 문제를 풀고 난 뒤이기 때문에 아는 것이고, key_t가 뭔지 구글링 하다가 뭐하는 것인지 알게 되었습니다.
공유 메모리를 활용한 통신은 구글링을 통해 공부해보시고...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sys/types.h>
#include <sys/ipc.h>
#include <sys/shm.h>
#include <signal.h>
#define SIZE 1024
main()
{
int shmid;
void *shmaddr;
struct shmid_ds shm_stat;
// 1234 키의 공유메모리 있으면 접근해서 식별자 얻음
if((shmid=shmget((key_t)1234, SIZE, IPC_CREAT|0666)) == -1) {
perror("shmid failed");
exit(1);
}
// shmid 공유메모리를 호출 프로세스 메모리 영역으로 첨부
if((shmaddr=shmat(shmid, (void *)0, 0)) == (void *)-1) {
perror("shmat failed");
exit(1);
}
// 공유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출력
printf("data read from shared memory : %s\n", (char *)shmaddr);
// shmid 공유메모리 정보를 얻어 shm_stat에 저장
if(shmctl(shmid, IPC_STAT, &shm_stat) == -1) {
perror("shmctl failed");
exit(1);
}
// 공유메모리를 호출 프로세스의 메모리 영역에서 분리
if(shmdt(shmaddr) == -1) {
perror("shmdt failed");
exit(1);
}
// shm_stat.shm_cpid 프로세스에게 SIGINT 시그널 보냄
kill(shm_stat.shm_cpid, SIGINT);
exit(0);
}
이 코드를 사용하면 공유메모리 통신의 내용을 읽어올 수 있다고 합니다.
출처는 여기입니다.
암튼 저 코드에 ket_t의 값만 바꿔서 넣어주게 되면?
아주 잘 컴파일이 되며, 아주 잘 실행됩니다!
저게 level 11의 패스워드인가보네요 ㅎ
'Hacking-기초 > [PWN] FTZ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ree Training Zone (12) level12 → level13 (0) | 2020.07.21 |
---|---|
Free Training Zone (11) level11 → level12 (0) | 2020.07.20 |
Free Training Zone (9) level9 → level10 (0) | 2020.07.17 |
Free Training Zone (8) level8 → level9 (0) | 2020.07.15 |
Free Training Zone (7) level7 → level8 (2) | 2020.07.08 |